맨위로가기

러시아 5인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5인조는 19세기 중반, 서유럽 음악에 대항하여 러시아 고유의 음악을 창조하고자 결성된 작곡가 그룹이다. 밀리 발라키레프를 중심으로 세자르 큐이,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알렉산드르 보로딘으로 구성되었으며, 러시아 민족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러시아 민요, 코사크 춤, 교회 선법 등에서 영감을 얻어 러시아적인 음악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오리엔탈리즘을 활용한 작품을 통해 러시아 민족성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1870년 전후 활동의 절정을 맞이했으나, 이후 멤버들의 개별 활동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었다. 러시아 5인조는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등 후대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모리스 라벨, 클로드 드뷔시 등 프랑스 상징주의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악파 -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나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여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고 기사 작위와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에 사망했다.
  • 국민악파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는 체코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 활동과 《팔려간 신부》, 《나의 조국》 등의 작품을 통해 체코 국민 음악의 기초를 확립하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 러시아의 작곡가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러시아의 낭만주의 후기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쇼팽과 리스트의 영향에서 벗어나 신비주의적이고 전위적인 스타일과 '신비 화음' 체계를 구축했으며, 음악과 빛을 결합한 《미스테리움》을 기획하는 등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작곡가 - 알렉산드르 보로딘
    알렉산드르 보로딘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곡가이자 화학자로, 의사이자 교수로서 활동하면서 "일요일 작곡가"로 불릴 만큼 활발한 작곡 활동을 병행했으며, 러시아 5인조의 일원으로서 러시아적인 요소와 독특한 화성 및 서정성이 돋보이는 음악을 작곡하여 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클래식 작곡가 - 표트르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낭만주의 작곡가로,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감정, 화려한 관현악법으로 사랑받는 〈비창〉, 발레 음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후원과 연금을 받으며 창작에 전념하고 유럽과 미국 순회공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러시아의 클래식 작곡가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러시아의 낭만주의 후기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쇼팽과 리스트의 영향에서 벗어나 신비주의적이고 전위적인 스타일과 '신비 화음' 체계를 구축했으며, 음악과 빛을 결합한 《미스테리움》을 기획하는 등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 5인조
개요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밀리 발라키레프, 알렉산드르 보로딘, 세자르 큐이, 모데스트 무소륵스키,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명칭
다른 이름모구차야 쿠치카 (러시아어: Могучая кучка)
의미힘센 무리
영어The Five
결성
시기1856년 ~ 1870년
장소상트페테르부르크
멤버
영향
목표러시아 민족주의 음악 발전
특징서유럽 음악 전통 거부, 러시아 민속 음악 기반
참고 문헌
참고 서적에드워드 가든,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nd edition, Volume 8, page 913

2. 역사

1856년 밀리 발라키레프와 세자르 큐이의 만남으로 러시아 5인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듬해인 1857년에는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가, 1861년에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가, 1862년에는 알렉산드르 보로딘이 합류하였다.[1]

5인조에 앞서 미하일 글린카와 다르고미슈스키는 민족적인 성격을 가진 음악을 창작하려 노력했지만, 5인조는 이러한 음악을 발전시키는 데 처음으로 집중한 작곡가 그룹이었다.

발라키레프 그룹에 초기 영향을 준 인물은 알렉산드르 세로프였다. 그는 1856년 다르고미슈스키의 오페라 《루살카》를 호평하며 푸쉬킨의 텍스트와 음악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했다.[26] 또한 안톤 루빈스타인이 러시아 음악 협회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설립하자 이에 대항하여 무료 음악 학교의 설립을 추진했다.[27]

"쿠치카"라는 별칭을 붙인 블라디미르 스타소프는 러시아 예술 전반이 서양에 비해 뒤떨어진 상황을 바꾸려 시도했다. 그는 러시아인의 생활을 충실히 묘사하는 사실주의를 주창했고, 음악에서는 표제 음악을 중시했다. 또한 독일 음악 이론과 아카데미의 권위를 거부하고, 교회 선법과 러시아 민화를 소재로 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다. 러시아 문화가 아시아에 근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여 오리엔탈리즘에도 관심을 가졌다.[28] 스타소프는 5인조에게 구체적인 작곡 소재를 종종 제공했다.

스타소프는 원래 세로프와 절친한 친구였지만, 1850년대 말에 세로프와 사이가 틀어지면서 5인조는 스타소프 편을 들었다. 5인조는 스타소프를 일종의 예술 고문으로, 다르고미슈스키를 정신적 장로로 받들었다.

그러나 이들 5인은 스타소프가 말하는 것처럼 굳건한 결속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25] 발라키레프는 피아노의 명수이자 전문 음악가였지만, 스스로 작곡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작곡하게 하고 자신이 지도자가 되는 것을 선호했다.[29] 무소르크스키는 발라키레프에게 음악 이론을 배웠고, 보로딘은 5인조 가입 후 교향곡과 현악 사중주곡 작곡에 힘썼다.[30] 큐이는 오페라 작곡을 시도했지만, 개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슈만 등의 영향을 받은 교향곡 1번으로 유명해졌고, 교향시 《사트코》, 《안타르》에서 뛰어난 관현악법과 독자적인 어법을 보여주었다.

1870년 전후, 큐이의 《윌리엄 래트클리프》, 보로딘의 교향곡 1번,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프스코프의 아가씨》가 상연되면서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

그러나 이후 그룹은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발라키레프는 작곡과 지휘 활동을 장기간 중단했고, 큐이는 1875년 이후 대규모 오페라 작곡을 중단했다.[31] 무소르크스키는 1881년, 보로딘은 1887년에 각각 주요 오페라를 미완성인 채로 사망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1871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로 취임한 후 독자적인 길을 걸으며 벨랴예프 서클을 형성했지만, 이는 5인조와는 다른 방향이었다.

2. 1. 결성 배경

1867년 5월, 평론가 블라디미르 스타소프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전 러시아 민족지학 전시회"의 슬라브 대표단 콘서트를 다룬 "발라키레프 씨의 슬라브 콘서트"라는 기사를 썼다. 이 콘서트에서는 미하일 글린카, 알렉산드르 다르고미슈스키, 밀리 발라키레프,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곡이 연주되었다.[1] 스타소프는 기사에서 "러시아 음악가 소수의 시, 감성, 재능, 지성이 얼마나 많은지"를 강조했다.[2]

'강력한 소수'(Могучая кучка|Moguchaya kuchka|모구차야 쿠치카ru)라는 표현은 발라키레프와 스타소프의 적들이 조롱하며 사용했지만, 이들은 이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2] 발라키레프를 중심으로 큐이, 무소르크스키, 림스키코르사코프, 보로딘이 모였고, 이들은 "강력한 소수" 또는 "The Five"로 알려졌다. 제럴드 아브라함은 ''그로브 음악 및 음악가 사전''에서 "그들은 스스로를 'The Five'라고 부르지 않았고, 러시아에서도 그렇게 불린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 (오늘날 러시아에서는 "Пятёрка" ("Pyatyorka")가 이들을 지칭하는 데 가끔 사용된다).[4] 림스키코르사코프는 회고록에서 이들을 "발라키레프의 서클"이라고 자주 언급하며, "강력한 소수"라는 표현을 아이러니하게 사용하기도 했다.[5]

러시아 5인조는 1856년 발라키레프와 큐이의 만남으로 시작되었다. 1857년 무소르크스키, 1861년 림스키코르사코프, 1862년 보로딘이 합류했다. 이들은 글린카와 다르고미슈스키의 민족주의적 음악 창작 시도를 이어받아 러시아적 소재를 사용한 음악 발전에 집중했다.

발라키레프 그룹에 영향을 준 인물로는 알렉산드르 세로프가 있다. 그는 다르고미슈스키의 오페라 《루살카》를 호평하며 푸쉬킨의 텍스트와 음악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했다.[26] 안톤 루빈스타인의 러시아 음악 협회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설립에 대항하여 무료 음악 학교 설립을 추진했다.[27]

"쿠치카"의 명명자인 스타소프는 러시아 예술이 서양에 비해 뒤떨어진 상황을 바꾸려 했다. 그는 러시아인의 생활을 묘사하는 사실주의를 주장했고, 음악에서는 표제 음악을 중시했다. 독일 음악 이론과 아카데미의 권위를 거부하고, 교회 선법과 러시아 민화를 소재로 하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러시아 문화가 아시아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생각하여 오리엔탈리즘에도 관심을 가졌다.[28] 스타소프는 5인조에게 작곡 소재를 제공하기도 했다.

스타소프는 원래 세로프와 친했지만, 1850년대 말 둘 사이가 틀어지면서 5인조는 스타소프를 지지했다. 5인조는 스타소프를 예술 고문, 다르고미슈스키를 정신적 장로로 여겼다.

5인조는 스타소프의 말처럼 굳건하게 결속되지 않았다.[25] 발라키레프는 피아노 연주 실력이 뛰어났지만, 작곡보다 다른 사람을 지도하는 것을 선호했다.[29] 무소르크스키는 발라키레프에게 음악 이론을 배웠다. 보로딘은 29세에 발라키레프를 만났으며, 실내악 작곡 경험이 있는 개성 강한 음악가였다.[30] 큐이는 오페라 작곡을 시도했지만, 러시아적이지 않고 전통 어법에 갇혀 있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교향곡 1번으로 유명해졌으며, 《사트코》, 《안타르》에서 뛰어난 관현악법과 독자적인 어법을 보여주었다.

2. 2. 그룹의 형성

1856년 밀리 발라키레프와 세자르 큐이가 처음 만나면서 러시아 5인조 그룹 결성이 시작되었다. 1857년에는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가, 1861년에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가, 1862년에는 알렉산드르 보로딘이 합류했다.[1] 이들은 모두 젊은 아마추어 음악가들이었다. 발라키레프는 25세, 큐이는 27세, 무소르크스키는 23세, 보로딘은 28세, 림스키코르사코프는 겨우 18세였다.[6]

보로딘은 화학과 작곡을 병행했고, 큐이는 육군 기술자로 요새 건축을 가르쳤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해군 장교였고, 무소르크스키는 제국 근위대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와 공무원으로 복무하다 음악을 시작했다.[6]

표트르 차이콥스키와 같은 음악원 출신 작곡가들과 달리, 5인조는 지방 소수 귀족 출신으로, 러시아 민족주의 사상에 고무되어 서구적 이상이 러시아 문화에 침투하는 것을 막고자 했다.[8]

1867년 5월, 평론가 블라디미르 스타소프는 슬라브 대표단을 위한 콘서트를 다룬 기사에서 "러시아 음악가 소수의 시, 감성, 재능, 지성이 얼마나 많은지"를 언급하며, 이들을 '강력한 소수'(Могучая кучка|Moguchaya kuchka|모구차야 쿠치카ru)라고 칭했다.[2] 이 명칭은 발라키레프와 스타소프의 적들에게 조롱받았지만, 그룹은 이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2] 제럴드 아브라함은 ''그로브 음악 및 음악가 사전''에서 "그들은 결코 스스로를 'The Five'라고 부르지 않았고, 러시아에서도 그렇게 불린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 림스키코르사코프는 회고록에서 이 그룹을 "발라키레프의 서클"이라고 칭하며, 때로는 "강력한 소수"라는 표현을 아이러니하게 사용했다.[5]

5인조에 앞서 미하일 글린카와 다르고미슈스키는 민족적인 성격의 음악을 창작하려 노력했지만, 5인조는 이러한 음악 발전에 처음으로 집중한 그룹이었다.

발라키레프 그룹의 초기 주장에 영향을 준 인물로는 알렉산드르 세로프가 있다. 그는 1856년 다르고미슈스키의 오페라 《루살카》를 호평했고,[26] 안톤 루빈스타인이 러시아 음악 협회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설립하자 이에 대항하여 무료 음악 학교 설립을 추진했다.[27]

"쿠치카"의 명명자인 스타소프는 러시아 예술의 발전을 위해 사실주의를 주창하고, 표제 음악을 중시했으며, 교회 선법오리엔탈리즘에 관심을 가졌다.[28] 그는 5인조에게 작곡 소재를 제공하기도 했다.

스타소프는 세로프와 사이가 틀어진 후 5인조의 예술 고문이 되었고, 다르고미슈스키는 정신적 장로로 여겨졌다.

5인조는 스타소프가 말하는 것처럼 굳건한 결속력을 가지지는 않았다.[25] 발라키레프는 피아노의 명수이자 전문 음악가였지만, 스스로 작곡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을 지도하는 것을 선호했다.[29] 무소르크스키는 발라키레프에게 음악 이론을 배웠고, 보로딘은 5인조 가입 후 교향곡과 현악 사중주곡 작곡에 힘썼다.[30] 큐이는 오페라 작곡을 시도했지만, 개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슈만 등의 영향을 받은 교향곡 1번으로 유명해졌고, 교향시 《사트코》, 《안타르》에서 뛰어난 관현악법과 반음계적 어법을 인정받았다.

1870년 전후,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지만, 이후 발라키레프가 작곡 활동을 중단하면서 그룹은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큐이는 1875년 이후 오페라 작곡을 중단했고,[31] 무소르크스키는 1881년에 사망했으며, 보로딘은 1887년에 사망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가 된 후 독자적인 길을 걸으며 벨랴예프의 지원을 받아 랴도프, 글라주노프 등과 함께 독자적인 학파(벨랴예프 서클)를 형성했지만, 이는 5인조와는 다른 방향이었다.

2. 3. 전성기와 해체

1870년 전후, 큐이의 《윌리엄 래트클리프》, 보로딘의 교향곡 1번,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프스코프의 아가씨》가 상연되면서 러시아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25]

그러나 이후 그룹은 실질적으로 해체되기 시작했다. 중심 인물이었던 발라키레프는 작곡과 지휘 활동을 장기간 중단했고, 다른 멤버들에게 영향을 준 교향시 《타마라》를 비롯한 여러 작품이 완성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큐이는 1875년에 《안젤로》를 발표했지만, 이후 대규모 오페라 작곡을 중단하고 살롱용 소품만을 작곡하게 되었다.[31] 무소르크스키는 《호반시치나》와 《소로친치의 시장》을 미완성인 채로 1881년에 사망했고, 보로딘은 본업이 너무 바빠 작곡에 전념하지 못하고 1887년에 《이고르 공》을 미완성으로 남긴 채 사망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1871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로 취임한 후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그는 러시아 5인조에게 부족했던 아카데믹한 훈련을 스스로에게 부과하고, 1880년대에 벨랴예프의 지원을 받아 랴도프, 글라주노프 등과 함께 독자적인 학파(벨랴예프 서클)를 형성했다. 그러나 이들의 방향성은 아카데미즘에 반대했던 러시아 5인조와는 뚜렷하게 달랐다.

3. 음악적 특징

러시아 5인조는 자신들만의 독특한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 스타일을 발전시키려 노력했으며, 이는 그들을 음악원과는 다른 길을 걷게 했다. 5인조는 러시아 민속 음악의 영향을 받아 마을 노래, 코사크 및 캅카스 춤, 교회 성가, 교회 종소리 등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들은 러시아 생활의 소리를 모방하여 음악을 채우고, 글린카가 "러시아 음악의 영혼"이라 칭했던 길게 이어지는 서정적이고 멜리스마적인 농민 노래를 재현하고자 했다.[9]

발라키레프는 1860년대 볼가 강에서 수집한 노래를 연구하여 러시아 민요의 독특한 특징을 보존했다. 이러한 특징에는 음조의 가변성, 이선율, 나란한 5도 등이 있다. 음조의 가변성은 곡이 자연스럽게 한 음조 중심에서 다른 음조 중심으로 이동하며, 종종 시작과 다른 조로 끝나는 특징을 말한다. 이선율은 두 명 이상의 연주자가 서로 다른 변주를 동시에 연주하는 형태로, 즉흥적으로 연주되다가 단일 멜로디 라인으로 돌아간다. 나란한 5도는 서양 음악의 세련된 조화와 달리 거친 음향을 부여한다.[9]

5인조는 서양 음악과 구별되는 독특한 "러시아적" 스타일과 색채를 창조하기 위해 여러 화성 기법을 사용했다. 온음계, 러시아 부속조, 감소 또는 팔음계, 3도 시퀀스의 모듈식 회전, 5음 음계 등이 그 예시이다. 온음계는 글린카가 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1842)에서 사용하면서 특징적인 화성 및 멜로디 장치로 자리 잡았으며, 주로 사악하거나 불길한 상황을 암시한다. 러시아 부속조는 글린카의 ''루슬란''에서 사용된 기법으로, 한 성부가 반음계적으로 진행하는 동안 다른 성부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화성 패턴(장조)이다. 감소 또는 팔음계는 림스키코르사코프가 1867년 교향시 ''사드코''에서 처음 사용한 기법으로, 마법과 위협을 나타내는 라이트모티프로 사용되었다. 3도 시퀀스의 모듈식 회전은 프란츠 리스트의 기법을 차용하여 교향시 형식의 느슨한 구조를 만들었으며,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5음 음계는 러시아 민족주의 작곡가들이 모두 사용한 기법으로, 7음 음계 대신 옥타브에 5개의 음만 사용하여 "원시적인" 민속 멜로디 스타일과 "동양적인" 요소를 암시하는 데 사용되었다.[9] [10] [11]

"러시아 5인조"는 오리엔탈리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발라키레프의 ''이슬라메이'', 보로딘의 ''이고르 공'',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세헤라자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2] [13] 발라키레프는 "러시아" 음악을 안톤 루빈스타인 등 서구 지향적인 작곡가들의 독일적 교향곡주의와 차별화하기 위해 동양적인 주제와 화성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15]

오리엔탈리즘은 단순히 동양 멜로디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음악적 관습을 통해 더욱 중요하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관습은 정치적 주제나 에로틱한 환상과 같이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주제를 다루는 수단이 되었으며, 알렉산드르 2세 치하에서 제국이 확장됨에 따라 러시아의 우월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는 종종 이성적이고 활동적인 서구 남성과 비합리적이고 수동적인 동양 여성의 대비를 통해 강화되는 여성혐오적 상징주의로 나타났다.[14] [19] [20] [21]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 모음곡 ''안타르''와 발라키레프의 교향시 ''타마라''는 오리엔탈리즘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안타르''는 아라비아를 배경으로 서양(러시아)과 동양(아라비아)의 서로 다른 음악 스타일을 사용하며, 남성적인 러시아 성격의 안타르 주제와 여성적이고 오리엔탈한 멜로디 라인을 가진 여왕 굴 나자르의 주제가 대비된다. 발라키레프는 ''타마라''에서 미하일 레르몬토프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자들을 유혹하여 밤새도록 관능적인 즐거움을 주고 죽여 강에 던져버리는 아름다운 타마라의 이야기를 묘사했다.[19] [22] [23]

3. 1.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 스타일

5인조는 자신들만의 독특한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 스타일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그들을 음악원과는 다른 길을 걷게 했다. 이들의 음악 스타일은 크게 두 가지 요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9]

  • 러시아 민속 음악의 영향: 5인조는 마을 노래, 코사크 및 캅카스 춤, 교회 성가, 교회 종소리 등에서 영감을 받아 음악에 통합하려 했다. 그들의 음악은 러시아 생활의 소리를 모방하여 가득 채워졌으며, 글린카가 "러시아 음악의 영혼"이라 칭했던 길게 이어지는 서정적이고 멜리스마적인 농민 노래를 재현하고자 했다. 발라키레프는 1860년대 볼가 강에서 수집한 노래를 연구하여 러시아 민요의 독특한 특징을 보존했다.
  • 음조의 가변성: 곡이 자연스럽게 한 음조 중심에서 다른 음조 중심으로 이동하며, 종종 시작과 다른 조로 끝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모호함과 조화의 불분명함을 느끼게 하지만, 서양 음악과 다른 독특한 러시아 음악의 특징을 만들어낸다.
  • 이선율: 두 명 이상의 연주자가 서로 다른 변주를 동시에 연주하는 형태로, 즉흥적으로 연주되다가 단일 멜로디 라인으로 돌아간다.
  • 나란한 5도, 4도, 3도: 서양 음악의 세련된 조화와 달리 거친 음향을 부여한다.

  • 독창적인 화성 기법: 5인조는 서양 음악과 구별되는 독특한 "러시아적" 스타일과 색채를 창조하기 위해 여러 화성 기법을 사용했다. 이러한 기법들은 자의식적이고 창조적인 것으로, 실제 러시아 민요나 교회 음악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온음계: 글린카가 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1842)에서 사용하면서 특징적인 화성 및 멜로디 장치로 자리 잡았다. 이 음계는 주로 사악하거나 불길한 상황을 암시하며, 차이콥스키, 림스키-코르사코프, 클로드 드뷔시 등 여러 작곡가들이 사용했다. 이후 공포 영화 음악의 표준적인 기법이 되었다.
  • 러시아 부속조: 글린카의 ''루슬란''에서 사용된 기법으로, 한 성부가 반음계적으로 진행하는 동안 다른 성부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화성 패턴(장조)이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세헤라자데'' 3악장 첫 부분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 감소 또는 팔음계: 림스키-코르사코프가 1867년 교향시 ''사드코''에서 처음 사용한 기법이다. 이 음계는 마법과 위협을 나타내는 라이트모티프로, 림스키-코르사코프뿐만 아니라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모리스 라벨,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올리비에 메시앙 등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했다.
  • 3도 시퀀스의 모듈식 회전: 프란츠 리스트의 기법을 차용하여 교향시 형식의 느슨한 구조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소나타 형식의 엄격한 조바꿈 법칙에서 벗어나 음악의 "내용"에 따라 자유롭게 형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은 이러한 구조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다.[10]
  • 5음 음계: 러시아 민족주의 작곡가들이 모두 사용한 기법으로,[11] 7음 음계 대신 옥타브에 5개의 음만 사용한다. "원시적인" 민속 멜로디 스타일과 "동양적인" 요소를 암시하는 데 사용되며, 보로딘의 ''이고르 공'' 시작 부분에서 그 예를 들을 수 있다.

3. 2. 오리엔탈리즘

"러시아 5인조"는 오리엔탈리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12] 발라키레프의 ''이슬라메이'', 보로딘의 ''이고르 공'',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세헤라자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3] 오리엔탈리즘은 러시아 음악이 서방에서 널리 알려지는 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러시아 민족성의 특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4]

"러시아 5인조"의 지도자였던 발라키레프는 "러시아" 음악을 안톤 루빈스타인 등 서구 지향적인 작곡가들의 독일적 교향곡주의와 차별화하기 위해 동양적인 주제와 화성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15]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곡 1번은 러시아 민요와 오리엔탈 멜로디를 사용하여 스타소프 등 민족주의자들로부터 "첫 번째 러시아 교향곡"이라는 칭송을 받았다. 하지만 루빈스타인이 이미 12년 전에 ''대양'' 교향곡을 작곡했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16]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사용한 주제들은 발라키레프가 코카서스에서 채보한 것이었다.[17] 는 1863년에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곡에 대해 "정말 러시아적입니다. 오직 러시아 사람만이 그것을 작곡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라고 평했다.[18]

오리엔탈리즘은 단순히 동양 멜로디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음악적 관습을 통해 더욱 중요하게 표현되었다.[19] 이러한 관습은 정치적 주제나 에로틱한 환상과 같이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주제를 다루는 수단이 되었다.[20] 또한 알렉산드르 2세 치하에서 제국이 확장됨에 따라 러시아의 우월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21] 이는 종종 이성적이고 활동적인 서구 남성과 비합리적이고 수동적인 동양 여성의 대비를 통해 강화되는 여성혐오적 상징주의로 나타났다.[14]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 모음곡 ''안타르''와 발라키레프의 교향시 ''타마라''는 오리엔탈리즘이 두드러진 작품이다.[19] ''안타르''는 아라비아를 배경으로 서양(러시아)과 동양(아라비아)의 서로 다른 음악 스타일을 사용한다.[19] 남성적인 러시아 성격의 안타르 주제와 여성적이고 오리엔탈한 멜로디 라인을 가진 여왕 굴 나자르의 주제가 대비된다.[19]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여성의 관능성이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암시를 통해 여성혐오를 어느 정도 완화하려 했지만, 결국 굴 나자르가 안타르를 죽임으로써 여성이 남성을 압도하는 결말을 보여준다.[19]

발라키레프는 ''타마라''에서 더욱 노골적인 여성혐오적 시각을 드러낸다.[19] 그는 미하일 레르몬토프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자들을 유혹하여 밤새도록 관능적인 즐거움을 주고 죽여 강에 던져버리는 아름다운 타마라의 이야기를 묘사했다.[22][23] 발라키레프는 디오니소스적 도취를 나타내는 강박적인 리듬, 음표 반복, 절정 효과, 가속된 템포와 관능적인 갈망을 묘사하는 예측 불가능한 리듬, 불규칙한 구절, 반복 음표, 증폭 및 감소된 음정, 확장된 멜리스마 등 두 가지 코드를 사용하여 오리엔탈리즘을 표현했다.[19] 그는 1898년 ''타마라''의 관현악 편성을 개정하면서 이러한 코드를 더욱 강화했다.[24]

4. 구성원

1856년 발라키레프와 큐이의 만남으로 '러시아 5인조'가 시작되었다. 1857년에는 무소르크스키가, 1861년에는 림스키-코르사코프가, 1862년에는 보로딘이 합류했다.[25]

이들은 글린카와 다르고미슈스키의 뒤를 이어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을 발전시키는 데 힘썼다. 세로프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스타소프는 이들에게 '쿠치카(러시아어: кучка, 강력한 소수)'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예술적 조언자 역할을 했다.[28]

5인조는 스타소프가 말한 것처럼 굳건한 결속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25] 각자 개성이 강했으며, 음악적 견해도 달랐다.

1870년 전후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지만, 이후 그룹은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발라키레프는 활동을 중단했고, 큐이는 소규모 작품에 집중했으며, 무소르크스키와 보로딘은 주요 작품을 미완성으로 남긴 채 사망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4. 1. 밀리 발라키레프

밀리 발라키레프는 러시아 5인조의 리더이자 중심 인물이었다. 1856년 세자르 큐이와의 만남을 시작으로 그룹 결성이 시작되었고,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1857년),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1861년), 알렉산드르 보로딘(1862년)이 차례로 합류했다.[6]

발라키레프는 뛰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즉흥 연주에 능했으며, 정확한 화성과 파트 쓰기 감각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방대한 음악적 지식과 뛰어난 기억력을 바탕으로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기술적인 결함이나 형식의 결점을 즉시 파악하고, 즉흥적으로 수정하여 제시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회고록에 따르면, 발라키레프는 자신의 취향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가차없이 비판하고 조롱했으며, 제자들은 그의 독재적인 요구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했다. 이러한 발라키레프의 영향력은 마치 자기력이나 최면술과 같았다고 묘사된다.[29]

그는 스스로 작곡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작곡하게 하고 자신이 지도자가 되는 것을 선호했다.[29] 무소르그스키에게 음악 이론을 가르쳤으며, 보로딘과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큐이가 교향곡과 악곡 형식, 관현악법에 대해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했지만, 성악 및 오페라 음악에서는 최고라고 평가했다. 반대로 큐이는 발라키레프를 교향곡, 형식, 관현악법의 거장이라고 생각했지만, 오페라 작곡과 성악 음악 전반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1870년 전후, 발라키레프는 작곡과 지휘 활동을 장기간 중단했고, 그가 작곡한 곡들 중 상당수는 완성되기까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로 인해 그룹은 실질적으로 소멸하게 되었다.

4. 2. 세자르 큐이

1856년 발라키레프와 큐이가 만나면서 5인조가 시작되었다.[25] 큐이는 일찍부터 오페라 작곡을 시도했지만, 그의 음악은 서정성은 풍부했지만 러시아적이지 않았고, 전통적인 작법에 얽매여 개성이 부족했다.[30] 1870년 전후, 큐이의 《윌리엄 래트클리프》가 상연되면서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 그러나 1875년에 《안젤로》를 발표한 후, 대규모 오페라 작곡은 중단하고 살롱용 소품만을 작곡하게 되었다.[31] (다만, 소규모 오페라는 계속 만들었다.)

4. 3.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

1857년 무소르크스키는 5인조에 세 번째로 참가했다.[25] 그는 발라키레프를 만났을 때 아직 19세였고, 발라키레프에게 음악 이론을 배웠다.[29] 무소르크스키는 매우 독창적이었고, 5인조의 이념에도 가장 충실했다.[30]

1870년 전후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가 상연되는 등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25] 그러나 이후 그룹은 실질적으로 소멸하는데, 무소르크스키는 《호반시치나》와 《소로친치의 시장》을 모두 미완성인 채 1881년에 사망했다.[25]

드뷔시는 무소르크스키를 열렬히 좋아했다.[25]

4. 4.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1861년 5인조에 합류한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최연소 멤버였다. 발라키레프의 지도와 슈만 등의 영향을 받은 교향곡 1번을 스타소프가 극찬하면서 유명해졌고, 교향시 《사트코》나 《안타르》에서 뛰어난 관현악법과 반음계적인 독자적인 어법을 평가받았다.[30]

1870년 전후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프스코프의 아가씨》가 상연되는 등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지만, 이후 그룹은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1871년 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로 취임한 후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그는 5인조에 부족했던 아카데믹한 훈련을 스스로에게 부과하고, 1880년대에 벨랴예프의 지원을 받아 랴도프, 글라주노프 등과 독자적인 학파(벨랴예프 서클)를 형성했지만, 그 방향성은 아카데미즘에 반대했던 5인조와는 뚜렷하게 달랐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악파는 제자들에게 영향을 주어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음악에도 강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림스키코르사코프가 보로딘무소르크스키의 미완성 작품을 교정·보필했기 때문에, 주요 페테르부르크 출신 작곡가들은 이 두 사람에게서도 영향을 받았다.

레스피기는 러시아에서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직접 배웠다.[30]

4. 5. 알렉산드르 보로딘

1862년에 5인조에 참가했다.[25] 보로딘이 발라키레프를 만났을 때는 29세였고, 아마추어로서 많은 실내악 작곡 경험이 있었으며, 이미 강한 개성을 가진 음악가였다.[30] 5인조에 가입한 후에는 교향곡현악 사중주곡의 작곡으로 활약했다. 1870년 전후에는 큐이의 《윌리엄 래트클리프》, 보로딘의 교향곡 1번,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프스코프의 아가씨》가 상연되어 5인조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 그러나 본업이 너무 바빠 작곡이 뜻대로 되지 않아 1887년에 《이고르 공》을 미완성으로 사망했다.

5. 영향

러시아 5인조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음악계에 민족주의적 색채를 불어넣으며 큰 영향을 미쳤다. 글린카와 다르고미슈스키가 러시아적 소재로 오페라를 작곡하며 민족주의 음악의 길을 열었지만, 5인조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집중했다.

5인조는 알렉산드르 세로프와 스타소프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스타소프는 러시아 예술 발전을 위해 사실주의와 표제 음악을 강조하고, 독일 음악 이론과 아카데미 권위에 반대하며 교회 선법, 러시아 민화, 오리엔탈리즘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5인조에게 작곡 소재를 제공하기도 했다.

5인조는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프스코프의 아가씨》 등 대표작을 통해 1870년 전후 절정기를 맞았다. 그러나 이후 발라키레프는 활동을 중단했고, 큐이는 소품 작곡에만 몰두했으며, 무소르크스키와 보로딘은 미완성 작품을 남기고 사망하면서 그룹은 실질적으로 해체되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로 취임하여 독자적인 길을 걸으며, 벨랴예프 서클을 통해 후학을 양성했다.

5. 1. 러시아 음악에 미친 영향

5인조는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미하일 이폴리토프-이바노프,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등 후대의 많은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들의 급진적인 음조 언어는 모리스 라벨클로드 드뷔시와 같은 프랑스 상징주의 작곡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26]

림스키-코르사코프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로 재직하며 아나톨리 랴도프,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등 많은 후학을 양성했다. 그는 미트로판 벨랴예프의 지원을 받아 이들과 함께 독자적인 학파(벨랴예프 서클)를 형성했는데, 이는 5인조의 아카데미즘 반대 정신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그의 악파는 제자들을 통해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림스키-코르사코프는 보로딘무소르크스키의 미완성 작품을 교정하고 보완하는 데 힘썼다. 그 결과,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의 주요 작곡가들은 이 두 사람에게서도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5인조의 영향은 러시아를 넘어 국외로도 퍼져나갔다. 클로드 드뷔시는 무소르크스키를, 모리스 라벨과 플로랑 슈미트는 발라키레프를 존경했으며, 오토리노 레스피기는 러시아에서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장 콕토를 정신적 지주로 하는 "프랑스 6인조"는 5인조를 본떠 이름 붙여졌다.[25]

5. 2. 서양 음악에 미친 영향

'러시아 5인조'는 모리스 라벨, 클로드 드뷔시와 같은 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5인조의 급진적인 음조 언어에서 영감을 받았다.[26]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작곡가로는 오토리노 레스피기가 있다.

5인조의 영향은 프랑스 6인조와 같이 그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다른 음악 그룹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프랑스 6인조'라는 이름은 장 콕토를 정신적 지도자로 하여 '러시아 5인조'를 본떠 지어졌다.[28]

참조

[1] 서적 Essays on Russian and East European Music: Vladimir Stasov, Man and Critic Oxford: Clarendon Press 1985
[2] 서적 Master Musicians Series: Mussorgsky London: J.M.Dent & Sons, Ltd. 1946
[3] 서적 The New Grove: Russian Masters 1: Balakirev New York: W. W. Norton & Co. 1986
[4] 웹사이트 Balakirev Mily Alekseevich http://www.krugosvet[...]
[5] 서적 Chronicle of My Musical Life New York: Knopf 1923
[6] 서적 Natasha's Dance: A Cultural History of Russia New York: Metropolitan Books 2002
[7] 인용
[8] 논문 Understanding the Cultural and Nationalistic Impacts of the moguchaya kuchka https://digitalcommo[...] 2019
[9] 논문 "The Russian Submediant in the Nineteenth Century," Current Musicology 1995-10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서적 N.A. Rimskii-Korsakov: zhizn' i tvorchestvo Moscow 1935
[19] 서적 A History of Russian Music: From Kamarinskaya to Babi Y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20] 인용
[21] 인용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6] 인용
[27] 인용
[28] 인용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문서 찰스 아이브스, 헨리 카웰, 월링포드 리에거(1885~1961), John J. Becker(1886~1961), Carl Ruggles (1876~1971)
[33] 문서 에드워드 맥다월, 조지 채드윅(1854~1931), 존 놀스 페인(1839~1906), 에이미 비치(1867~1944), 아서 푸트(1853~1937)
[34] 문서 제말 레싯 레이(1904~85), 울비 제말 에르킨(1906~72), Ahmet Adnan Saygun(1907~91), Hasan Ferit Alnar(1906~78), Necil Kazım Akses(1908~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